🧬 뇌과학/ADHD

[4편] ADHD를 가진 여성은, 남들과 어떻게 다를까요?

빵장미 2023. 2. 25.

1. 가혹한 사회적 판단

유치원에서 일을 하는 여자 아이 두 명

ADHD여성은 어려서부터 자신의 문제를 숨기고자 상당한 에너지를 소모한다

 

여아들은... 공감 능력, 원만한 대인관계, 착한 성격, 좋은 엄마 따위의 전통적인 여성상에 부합하는 것을 강요받습니다. 동시에 자기주장을 할 줄 아는, 동시에 적극적이고, 경쟁적인, 주도적으로 학습하며, 커리어에 집중하는 남성적 자질(!)까지,두 가지 특성을 모두 갖추도록 길러집니다.

그래서 여자아이들이 과하게 활동적이거나, 남에게 지장을 주고, 충동적이거나, 정신산만한 행동을 할 때 그들은 가혹한 사회적 판단에 처합니다. ADHD를 가진 많은 여아들은 사회적 제재를 피하기 위해 그들 자신의 문제를 숨기고자 (자기 스스로) 상당한 에너지를 소모하죠.

전 편에서 말했던 내면화에 대한 이야기가 조금 나옵니다. 이러한 증상과 경험에 대한 '내면화', '외부화' 의 개념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수년간 연구되어 왔습니다. '외부화'는 '외부환경과의 충돌'로 설명되며 '내면화'는 '자기 자신의 안에 있는 것' 이라고 묘사됩니다. 이 두 개념은 모두 정신적 증상에 직면하는 반응이예요.

 

2. ADHD 여성에게 제일 고통스러운 것

바닥에 쏟아진 커피 한 잔과 뚜껑

매일 '자신의 감각과 투쟁하는' 일

 

일상적인 일을 계획하고 정리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로 인해 대부분의 여성에게 심각한 학업, 직업, 심리적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더불어 많은 연구에 걸쳐 여성은 남성보다 ADHD증상을 더 많이 내면화하는것으로 나타납니다. ADHD여성의 진단 및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Dr. Patricia 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ADHD 여성에게 제일 고통스러운 것은, 가족과 사회가 자신에게 기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부적절하다는 자신의 감각과 투쟁하는 일입니다. 여성들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피드백을 '나의 것'으로 만드는 것. '내면화'하도록 길러집니다. 즉 사과할 줄 알고, 받아들이고, 말대답하지 않는 것, 쉽게 말해서 자기 탓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여성들은 자신의 결함이 외부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는 방법으로 '내면화'하도록 학습되어 왔습니다. 외부적으로 관찰되는 장애는 그저 일부에 불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겉으로는 웃고 있지만 머릿속에서는 전쟁이 나는 거죠...^^

 

 

3. 낮은 자존감의 원인

슬픔과 어려움에 처한 두 여성

내가 게으르기 때문에 벌을 받는 걸까?

 

쉽게 말하면 여성들은 자신의 투쟁을 게으름, 노력부족, 능력부족과 같은 것을 전부 자기 결함 탓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성인이 되어도 따라다니는 부정적인 자기인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ADHD를 앓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기능 장애'가 여성이 스스로 자신을 바라보는 방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설명이 잘 쓰여져 있습니다. 이 논문의 저자는 이러한 ADHD 여성의 내적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대해 현상학적, 질적, 인터뷰 기반의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 편에서 이어집니다.

 


아래 논문을 참고 및 인용했습니다.

활자중독으로 해외 논문을 자급자족하는 것이므로, 발번역, 오역, 의역에 유의해주세요.

출처 : Noelle Marita Lynn, Grand Valley State University 
Women & ADHD Functional Impairments: Beyond the Obvious (2019) cholarworks.gvsu.edu

 

댓글